#1 결핵의 종류
결핵(TB)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잠복 결핵 감염(LTBI): 이는 결핵(Mycobacterium tuberculosis)을 유발하는 박테리아가 체내에 존재하지만 면역체계가 이를 통제할 수 있어 사람이 병을 느끼지 않는 비감염성 결핵이다. LTBI를 가진 사람들은 결핵의 어떠한 증상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들은 그 병을 다른 사람들에게 퍼뜨릴 수 없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해지면 미래에 활동적인 결핵이 발병할 위험이 있다.
활성 결핵 질환: 이것은 결핵을 일으키는 박테리아가 활발하게 증식하여 신체에 피해를 주는 전염성 결핵이다. 결핵이 활동적인 사람은 기침, 발열, 체중 감소, 식은땀 등의 증상을 경험하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공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질병을 전파할 수 있다. 활동성 결핵은 폐(폐결핵), 림프절, 뼈, 관절(폐외 결핵)과 같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결핵의 원인
결핵은 결핵균이라고 불리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한다. 이 박테리아는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또는 말을 할 때 공기를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퍼질 수 있다. 사람이 박테리아가 포함된 공기를 들이마실 때, 박테리아는 폐로 들어가 증식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박테리아에 노출된 모든 사람들이 활동적인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는, 면역 체계가 박테리아를 통제하고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것은 잠복 결핵 감염(LTBI)으로 알려져 있다.
활동성 결핵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는 HIV/AIDS나 특정 약물 등의 상태로 인한 면역력 약화, 붐비고 환기가 잘 되지 않는 환경에서 생활하거나 일하거나 활동성 결핵을 앓고 있는 사람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것 등이 있다.
#3 결핵의 증상
결핵의 증상은 사람이 잠복결핵감염증(LTBI)을 가지고 있는지, 활동적인 결핵병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활동성 결핵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3주 이상 지속되는 기침
흉통
기침으로 피나 가래를 토함
피로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
식욕 부진
식은땀
열.
어떤 경우에는 결핵이 림프절, 뼈, 관절, 신장과 같은 신체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폐외 결핵의 증상은 환부의 통증, 붓기 또는 압통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핵에 걸린 모든 사람이 이 모든 증상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결핵에 걸린 일부 사람들은 전혀 증상을 경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핵에 노출되었거나 이러한 증상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검사 및 치료를 위해 의료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결핵의 치료
결핵은 치료가 가능하고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다. 결핵의 치료는 보통 몇 달 동안 항생제의 조합을 복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확한 치료 기간은 결핵의 종류와 질병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활성 결핵의 표준 치료법은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등 4가지 항생제를 혼합한 것이다. 이 항생제들은 보통 최소 6개월 동안 복용한다. 경우에 따라 치료 기간을 9개월 또는 12개월로 연장해야 할 수도 있다.
치료가 끝나기 전에 기분이 좋아지더라도 처방대로 항생제를 모두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가 완료되지 않으면 세균이 항생제에 내성을 갖게 돼 향후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다.
잠복 결핵 감염(LTBI)은 또한 박테리아가 활성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항생제로 치료될 수 있다. LTBI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는 이소니아지드로, 보통 6-9개월 동안 복용한다.
항생제 외에도, 결핵에 걸린 사람들은 통증이나 열과 같은 증상을 관리하기 위해 다른 약을 복용해야 할 수도 있다. 치료하는 동안 좋은 영양을 유지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결핵에 걸렸거나 결핵에 걸린 사람에게 노출된 적이 있다고 의심된다면 의사의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발견과 치료는 질병의 확산을 막고 완치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5 결핵의 운동방법
운동은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건강과 복지에 이롭지만, 결핵(TB)이 있는 사람들은 신체 활동을 할 때 조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은 피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무리를 피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 기관과 협력하여 개인의 필요와 체력 수준에 적합한 운동 계획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는 걷기, 부드러운 요가 또는 수영과 같은 영향력이 적은 활동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치료 초기에는 휴식을 취하고 격렬한 신체활동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흉의 모든 것(종류, 원인, 증상, 치료, 운동법) (0) | 2023.03.22 |
---|---|
고지혈증의 모든 것(종류, 원인, 증상, 치료, 운동법) (1) | 2023.03.22 |
뇌전증의 모든 것(종류,원인,증상,치료,운동법) (0) | 2023.03.21 |
조현병의 모든 것(종류,원인,증상,치료,운동법) (1) | 2023.03.21 |
저산소증 Hypoxia의 모든 것(종류,원인,증상,치료,운동법) (0) | 2023.03.21 |
댓글